본문 바로가기

일상/국제결혼 이야기

[독일인과의 국제결혼] Step 1-3. 혼인자격증명서 발급 받기 (Ehefähigkeitszeugnis)


* 아래 대부분의 진행과정은 주한독일대사관에서 올린

"독일인과 한국인 사이의 결혼" 이라는 글을 바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 준비 시작)

 

(한국어 ver.)

https://seoul.diplo.de/kr-de/service/-/1694220


(독일어 ver.)
https://seoul.diplo.de/kr-de/service/04-Familienangelegenheiten/-/1693956

 


 

앞으로 연재될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추후 바뀔 수도 있어요)

 

Step 1. 혼인자격증명서 발급 (Ehefähigkeitszeugnis)

Step 2. 한국에서 혼인신고

Step 3. 한국 혼인 비자 신청하기
Step 4. 독일에서 혼인신고 + 성 바꾸기

Step 5. 한국 생활을 위해 부가적으로 해야할 것들

 


 

(아래 내용은 이전에 올린 글과 이어집니다.)


https://papazeros.tistory.com/10

 

[독일인과의 국제결혼] Step 1-1. 혼인자격증명서 발급 받기 (Ehefähigkeitszeugnis)

* 아래 대부분의 진행과정은 주한독일대사관에서 올린 "독일인과 한국인 사이의 결혼" 이라는 글을 바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 준비 시작) (한국어 ver.)https://seoul.diplo.de/kr-de/se

papazeros.tistory.com

 

https://papazeros.tistory.com/11

 

[독일인과의 국제결혼] Step 1-2. 혼인자격증명서 발급 받기 (Ehefähigkeitszeugnis)

* 아래 대부분의 진행과정은 주한독일대사관에서 올린"독일인과 한국인 사이의 결혼" 이라는 글을 바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 준비 시작) (한국어 ver.)https://seoul.diplo.de/kr-de/s

papazeros.tistory.com

 


 

(1-2를 작성한 이후로 작성이 너무 늦었네요.. 죄송합니다 ㅜㅜ)

 

여차저차하여 EMS로 아포스티유까지 받은 4개의 문서들을 독일로 보냈고

 

일주일 정도 걸려서 독일에 있는 여자친구에게 무사히 도착했습니다.

 

 

보낸 문서들은 다음과 같이 4종의 문서였습니다.

 

1. 가족관계증명서 (Urkunde über die familiäre Verwandtschaft)

2. 기본증명서 (Grunddatenurkunde)

3. 혼인관계증명서 (Urkunde über die eheliche Verwandtschaft)

4. 여권사실(사본)증명서

 

 

1~3은 한국어로 발행된 문서였기 때문에 번역 및 번역 공증이 필요 했습니다.

 

 

여자친구가 이리저리 수소문을 해 독일 내에서 한국어 번역 공증을 해주시는 분을 찾아 의뢰를 맡겼습니다.

 

(참고로 가격이 천차만별이니 여러 곳을 찾아보시고 그 중에서 저렴한 것을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5배에서 2배까지도 비용이 차이가 납니다..)

 

 

저희의 경우 완료까지 총 3일이 걸렸고

 

번역에 90유로, 공증에 30유로로 총 120유로를 지불 했습니다. (약 18만원 대.. )

 


 

이제 번역 공증까지 받은 이 피땀어린 노력이 담긴 문서들을

 

독일의 담당 사무소(Standesamt)에 제출을 했습니다.

 

참고로 비용은 80 유로 였습니다. (약 12만원..)

(한국은 관공서에서 직접 서류를 떼면 1000원이면 되는데.. 왜 이렇게 비싼걸까요?)

 

 

제출하고 얼마지나지 않아 완료가 되었다고 연락이 왔고

 

드디어 혼인자격증명서를 받게 되었습니다!

 

혼인자격증명서 (Ehefähigkeitszeugnis) 예시

 

 

이게 Ehefähigkeitszeugnis 입니다.

 

 

이거 하나를 받자고 정말.. ㅜㅜㅜㅜ

 

(비용만 따지면 한국에서 35000원, 독일에서 200유로 (약 30만원)이 들었습니다..)

 

 

내용은 정말 별거 없습니다.

 

저와 여자친구의 이름, 성별, 주소지, 생년월일 등등..

 


 

이로써 혼인자격증명서를 받기 위한 과정이 끝났습니다.

 

 

앞으로 이 과정을 거치실 다른 한독 커플 여러분들도

 

한국과 독일 담당 공무원에게 미리 전화를 하여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를 일단 문의 하시고

 

저희의 경험담들을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ㅎㅎ

 

 

다음은 한국에서의 혼인신고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