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대부분의 진행과정은 주한독일대사관에서 올린
"독일인과 한국인 사이의 결혼" 이라는 글을 바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 준비 시작)
(한국어 ver.)
https://seoul.diplo.de/kr-de/service/-/1694220
(독일어 ver.)
https://seoul.diplo.de/kr-de/service/04-Familienangelegenheiten/-/1693956
앞으로 연재될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추후 바뀔 수도 있어요)
Step 1. 혼인자격증명서 발급 (Ehefähigkeitszeugnis)
Step 2. 한국에서 혼인신고
Step 3. 한국 혼인 비자 신청하기
Step 4. 독일에서 혼인신고 + 성 바꾸기
Step 5. 한국 생활을 위해 부가적으로 해야할 것들
(아래 내용은 이전에 올린 글과 이어집니다.)
https://papazeros.tistory.com/10
[독일인과의 국제결혼] Step 1-1. 혼인자격증명서 발급 받기 (Ehefähigkeitszeugnis)
* 아래 대부분의 진행과정은 주한독일대사관에서 올린 "독일인과 한국인 사이의 결혼" 이라는 글을 바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 준비 시작) (한국어 ver.)https://seoul.diplo.de/kr-de/se
papazeros.tistory.com
https://papazeros.tistory.com/11
[독일인과의 국제결혼] Step 1-2. 혼인자격증명서 발급 받기 (Ehefähigkeitszeugnis)
* 아래 대부분의 진행과정은 주한독일대사관에서 올린"독일인과 한국인 사이의 결혼" 이라는 글을 바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 준비 시작) (한국어 ver.)https://seoul.diplo.de/kr-de/s
papazeros.tistory.com
https://papazeros.tistory.com/13
[독일인과의 국제결혼] Step 1-3. 혼인자격증명서 발급 받기 (Ehefähigkeitszeugnis)
* 아래 대부분의 진행과정은 주한독일대사관에서 올린"독일인과 한국인 사이의 결혼" 이라는 글을 바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 준비 시작) (한국어 ver.)https://seoul.diplo.de/kr-de/s
papazeros.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서 혼인자격증명서 (Ehefähigkeitszeugnis)를 받기 위한
꽤나 복잡했던 과정에 대해 설명을 마쳤습니다.
이 문서를 받아든 여자친구는
한국에서의 혼인신고를 위해 관광비자로 한국에 다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 혼인신고는 신고인의 등록기준지 또는 주소지나 현재지에서 하게 되어 있어서
제가 사는 곳의 구청 가족관계팀에 문의를 미리 하였고
다음과 같은 준비물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 아래 필요 문서들은 구청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꼭 관할 구청에 미리 문의하세요!!
1. 신청인의 한국 신분증 (운전면허증 또는 주민등록증)
2. 외국인 배우자의 여권 (+ 외국인 등록증이 있으면 들고 가시는 것도 좋아요)
3. 혼인자격증명서 (Ehefähigkeitszeugnis) 원본
4. 혼인자격증명서 번역본
5. 혼인신고서
3번 혼인자격증명서의 경우 그냥 원본을 제출하시면 됩니다.
독일에서 아포스티유 받아오실 필요가 없습니다.
4번의 혼인자격증명서 번역본은 본인이 직접 번역을 하셔도 괜찮습니다.
독일처럼 전문 번역과 번역 공증을 받을 필요 없습니다
그냥 파파고 쓰셔도 됩니다.
참고하시라고 아래에 제가 제출했던 번역본 양식을 올려드립니다.
(저희의 경우 아래 번역본으로 문제없이 잘 통과되었습니다.)
** 이름, 지명 등은 한국어와 독일어를 같이 적어주었습니다.
ex) 뮐러(Müller), 슈투트가르트(Stuttgart)
5번 혼인신고서의 경우 다음의 사항들만 유의하시면 됩니다.
1) 모든 내용은 한국어로 적어야 함 (이름, 주소 등)
2) 모든 이름은 성, 이름 순으로 적어야 함 (ex. 박존 (O) 존 박 (X))
(미들네임이 있는 경우 성, 이름, 미들네임 순으로 적어야 함)
3) 외국인 배우자와 배우자 부모님의 주민번호는 생년월일만 적으면 됨
(외국인 등록증이 있는 경우 등록증에 있는 번호를 적으면 됨)
4) 외국인 배우자, 배우자 부모님의 등록기준지는 나라 이름을 적어야 함 (ex. 독일)
5) 모든 서명 란에는 한국어로 이름을 정자로 적어야 함 (사인 하지 마세요)
6) 증인 서명 2명의 서명은 미리 받아와야 함
아래는 독일에 있는 한국 대사관에서 올린 예시 입니다. 참고해주세요!
https://overseas.mofa.go.kr/de-ko/brd/m_7232/view.do?seq=974655&page=2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관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관
overseas.mofa.go.kr
저희는 위와 같은 준비물들을 잘 챙겨가서
2025년 1월 혼인 신고를 하였고
열흘 정도 걸려서 무사히 혼인 신고가 완료 되었습니다! ^^
완료가 된 후 혼인관계증명서를 떼봤는데
주민번호란과 상세 내용에 배우자의 국적이 써있는 점이 신기했습니다 ㅎㅎ
드디어 법적으로 완전한 부부가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국제결혼 시 한국에서 혼인신고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한국의 F-6-1 배우자 비자 받는 법에 대해 써보도록 할게요
'일상 > 국제결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인과의 국제결혼] Step 1-3. 혼인자격증명서 발급 받기 (Ehefähigkeitszeugnis) (0) | 2025.02.26 |
---|---|
[독일인과의 국제결혼] Step 1-2. 혼인자격증명서 발급 받기 (Ehefähigkeitszeugnis) (7) | 2024.11.27 |
[독일인과의 국제결혼] Step 1-1. 혼인자격증명서 발급 받기 (Ehefähigkeitszeugnis) (2) | 2024.11.26 |
[독일인과의 국제결혼] 국제결혼 준비 과정에 대한 이야기 (0) | 2024.11.26 |